본문 바로가기
생활속 정보바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별 공제한도 및 자격요건 알아보기 2편

by 터노스 2022. 11. 11.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인 청약저축, 중소 벤처기업 투자조합 출자, 신용카드, 우리 사주, 장기 집합투자증권저축(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소득공제 한도 및 자격 요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이후 소득공제 총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가 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이전에 올린 소득공제 항목 중 인적공제, 연금보험공제, 주택자금 소득공제, 구개인연금, 노란 우산 공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별 공제한도 및 자격요건 알아보기 1편

연말정산은 크게 소등공제와 세액공제로 나누어지며 이것들을 잘 활용하여 13월의 월급을 또 한 번 받아 가셔야 합니다. 정세 금은 국세청과 내가 다니고 있는 회사에서 치밀하게 부지런하게 떼

teslaman.tistory.com

 


1. 소득공제 항목별 공제한도 및 자격 요건

  • 청약저축 공제
  • 벤처기업출자 공제
  • 신용카드, 체크카드 공제
  • 우리 사주
  • 소득공제 장기펀드 공제

2. 소득공제 최대한도


1. 소득공제 항목별 공제 한도 및 자격요건

청약저축 공제

주택마련저축 공제한도 및 공제요건 표
주택마련저축 공제요건

나중에 집을 사기 위해서 돈을 모으는 것을 '주택청약종합저축'이라고 합니다. 여기에 저축하는 것도 소득공제에 포함이 됩니다. 

연 240만 원까지 넣을 수 있고 저축하는 금액의 40%만큼 소득공제를 해줍니다. 한 달로 나누면 월 20만 원까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꽉 채우면 96만 원만큼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청약은 월 2만 원으로 세팅을 하시는데 이게 최저 요건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1년 동안 24만 원을 저축하게 되니까 9만 6,000원만큼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2만 원
x  12개월
----------------
= 24만 원
x       0.4 (40% 공제)
----------------
= 9만 6천 원

청약저축이 필요하신 분들은 저축도 하면서 소득공제도 받는 거고 한 달에 최소 2만 원~ 최대 20만 원까지 활용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벤처기업 출자 소득공제

창투조합으로 투자를 하거나 벤처기업에 직접 투자를 하면 소득공제를 많이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에인절 투자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단계에서 투자를 많이 진흥하도록 유도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많은 스타트업들이 생겨나며 경제 활동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투자조합 출자등 공제 한도 및 자격요건 표
투자조합 출자 공제 요건

특히 벤처기업에 직접 투자를 하면 3,000만 원까지는 100% 소득공제를 해줍니다. 5,000만 원까지는 70%, 5,000만 원이 넘어가면 30%를 해줍니다. 한도가 엄청 큽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벤처투자는 초보 투자자가 접근하기는 사실 너무 어렵고 위험합니다. 하지만 내가 투자에 대해서 이해도가 상당하고 이런 벤처기업에 직접 투자를 하면서 투자자 본연의 그런 자아실현을 하고자 하신다면 그런 리스크를 감수하실 수 있다면 아주 넉넉하게 소득공제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투자받으시려면 그 기업으로부터 증명 서류받아서 같이 제출을 해야 되니 잘 챙기셔야 합니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소득공제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하는 가장 큰 소득공제 항목이 바로 카드입니다. 

신용카드 공제 한도 및 공제요건 표
신용카드 공제요건

표를 보면 복잡하지만 풀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봉의 4분의 1까지는 뭘 쓰더라도 공제를 아예 안 해 줍니다. 그러니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고민할 필요 없이 신용카드를 써서 그 혜택이라도 받는 것이 낫습니다. 체크카드보다는 신용카드가 혜택이 많으니까요.

 

카드 사용량이 이 연봉의 4분의 1이 넘어가고 나서부터는 각 카드별로 가지고 있는 소득공제율이 적용이 됩니다. 

신용카드는 15%, 체크가드는 30%이며 이렇게 카드를 써서 얻을 수 있는 소득공제의 최고 한도는 연봉 별로도 정해져 있습니다. 

 

7,000만 원 이하의 경우에는 3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내가 소비를 정말 많이 하는 편이라서 신용카드를 쓰면서도 그 공제율로도 충분히 이 한도가 다 찬다면 체크카드를 쓰실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소비가 크지 않다면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를 적절히 나눠서 써야 합니다.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신용카드 체크카드 한도 예시 그림
신용카드 체크카드 한도 예시

연봉 4,000만 원의 예를 들어 보면 연봉의 4분의 1인 1,000만 원을 쓸 때까지는 공제가 안되니 아무거나 쓰시고 그걸 넘어가는 부분부터는 신용카드만 사용을 해서 최대를 채우는 것은 소비가 3,200만 원, 체크카드를 쓰면 2,100만 원을 쓰면 꽉 차게 됩니다. 330만 원이라는 소득공제의 한도를 꽉 채우게 되는 것이죠.

게다가 연봉이 높아지게 되면 이 최대한도가 줄어들게 됩니다.

 

연봉별 신용카드 공제 한도
연봉 7천만 원 이하: 330만 원
연봉 7천만 원~1.2억 원: 250만 원
연봉 1.2억 원 초과: 200만 원

연봉이 높다고 해도 카드를 많이 쓰는 것만으로는 소득공제를 받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소득은 큰데 공제는 더 작으니까 세금은 더 커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한도 외에 여기에 더해주는 것들이 있습니다. 

 

  • 전통시장: 40% 소득공제, 최대 100만 원 
  • 대중교통 사용분: 40% 소득공제, 최대 100만 원 
  • 문화생활 사용분: 30% 소득공제, 최대 100만 

결론: 연봉의 4분의 1까지는 신용카드를 사용하시고 그 이상은 체크카를 쓰자. 아주 많이 쓰실꺼라면 신용카드만 써도 충분하며 소비가 적다면 체크카드를 쓰자. 카드로 채울 수 있는 한도를 다 썼다면 전통시장, 대중교통, 문화생활을 적절히 이용을 해서 소득공제를 받으시면 됩니다.

 

 

 

우리 사주 소득공제

회사의 직원들이 내가 다니고 있는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을 '우리 사주'라고 합니다. 이것을 위해서 만들어진 '우리 사주조합'이 있습니다. 회사가 IPO를 하거나 유상증자 같은 것을 할 때는 그 직원들한테 먼저 혜택을 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 형태가 우리 사주의 일정 물량이 배정되도록 돼 있는 것이죠.

이런 게 생기면 직원들 마다 우리 사주를 얼마큼 살지 그런 한도가 정해지게 되고 근로자 각자 얼마만큼 할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우리사주 조합출연금 공제 한도 및 공제요건 표
우리사주 공제 한도 및 요건

이럴 때 우리 사주를 사면 소득공제를 400만 원이나 해줍니다. 벤처 기업은 1,500만 원이나 해줍니다. 

만약 나에게 이렇게 우리 사주를 살 기회가 생긴다면 소득공제 한도도 계산하면서 투자하시면 되겠습니다.

 

 

소득공제 장기펀드 소득공제

장기집합투자증권저축 공제 한도 및 공제 요건 표
장기집합 투자증권 저축 공제 한도 및 공제요건

2015년까지만 가입이 가능했던 '소득공제 장기펀드' 줄여서 '소장펀드'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을 아직 가지고 계시다면 600만 원까지 저축을 할 수 있고 그것의 40%인 240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은 안되지만 가지고 있으신 분은 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2. 소득공제 최대한도

소득공제를 받는다는 것은 세금을 계산할 때 내 연봉을 줄이게 되는 효과입니다. 만약 내 연봉이 5,000만 원인데 앞에 말씀드린 공제 조건을 전부 챙겨 소득공제를 5,000만 원을 받게 된다면 나는 소득이 0인 사람이 되는 것인데 그럼 세금이 0이란 말이 됩니다. 하지만 당연히 이렇게 안 되겠죠.

 

앞에서 말씀드린 모든 소득공제 한도는 전부 합해서 2,500만 원까지만 받을 수 있습니다.

나의 노력으로 줄일 수 있는 내 연봉의 크기는 2,500만 원이라는 것이죠. 더 이상 줄일 게 없다면 다음에 포스팅할 세액공제 항목을 챙기셔야 합니다.

 

 

이렇게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별 공제한도 및 자격요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세액공제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댓글